Categories
Apple KudoColumns KudoTech SmartPhones

[쿠도 칼럼] 아이폰 5: 멋진 제품과 혁신 사이의 괴리감

아이폰 5 (출처: Apple)

이쯤되면 예상이 될 법도 하다. 아이폰 5가 12일 발표되고 나서, 언론들은 “혁신이 사라졌다”고 연신 기사들을 날리고 있다. 최근 애플 이벤트 이후의 기사들을 보면 진짜 오랫동안 그 말만 한 것 같다. 당장 최근 1년만 생각해봐도 아이폰 4S때도, 3세대 아이패드 때도, 그리고 WWDC 때도 그랬다. (아니 그럼 레티나 맥북 프로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는 우연찮게도 잡스가 암으로 사망한 직후라 “잡스가 없어서”라는 고인드립 아닌 고인드립도 성행했다.

하지만 아이폰 5 자체는 어떨까? 외신들의 평가를 보면, 정말 좋은 제품같다. 화면도 커졌고, LTE도 되며, A6 프로세서로 기존 4S대비 2배의 속도 향상을 이루었다. (그럼 내 4랑은 네 배 차이인가…) 무엇보다 결론적으로 그간 아이폰이 경쟁자들에게서 (객관적인 기능 세트에서) 없다고 하는 기능은 나름 넣었다.

많은 사람들이 제기하는 것이 여기서 나오는 거 같다: 아이폰 5는 경쟁 제품의 기능을 따라잡은 것뿐이고, 혁신은 없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게 정말 나쁜 것일까? 지금이야 삼성과의 소송전 이후의 나쁜 여론(이 있다면) 때문에 이 문제가 부각(?)되어 보이지만, 사실 애플이 따라한 것은 반대로 생각해보면 그만큼 고객의 요구를 들어준 것이라 할 수도 있다. 물론, 애플 자신의 고집으로 절대로 허용못한다(착탈식 배터리라던가, 5인치대 화면이라던가)고 생각하는 것은 여전히 수용하지 않았지만, 만약에 그것이 대세라면 아무리 애플이라도 따라가야하지 않겠는가.

엄밀히 말하면, 맞다: 아이폰 5에 혁신은 없었다. 디자인 자체도 4/4S에서 좀 더 완성시킨 디자인일 뿐,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이 아닌 것은 맞다. LTE도 다른 안드로이드폰에 비하면 늦게 추가됐고(전세계적으로 LTE를 맞추기 위해 애플은 모델을 세 가지로 나눠야 했다), 화면도 여전히 다른 스마트폰에 비하면 작은 편이다. (개인적으로는 4인치가 딱 알맞다고 생각하지만 갤럭시 노트의 5인치대를 선호하는 분도 있으니…)

그러나 겨우 혁신의 정도로 제품을 평가하는 게 옳은 걸까? 아이폰은 출시 5년만에 애플의 전체 수익의 반을 차지하는 애플의 최대 사업 중 하나가 되었다. 애플의 최근 수직 상승은 아이폰 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2007년 아이폰 발표 당시 80달러대의 애플 주식이 지금은 682달러다. 단 5년 사이에) 혁신의 나쁜 의미는 바로 위험 부담이다. 기존의 플레이북에서 뭔가 많이 바꾸면 그만큼 위험 부담이 크다. 혁신을 이루어낸다 한들 성공한다는 보장도 없다. 물론, 나중에는 세상을 바꾸는 기술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당장에는 엄청난 쪽박이 될 수도 있다. 스티브 잡스가 처음에 애플에서 쫓겨나는 결정적 계기를 제공한 1984년의 첫 매킨토시도 그러했다. 아무리 혁신의 기업인 애플이라지만 언론과 여론에게 혁신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아이폰을 들어엎기에는 상당히 늦은 시기가 됐다. (그나저나, 혁신의 기준을 높인 것은 결국 애플 자신인 건 사실인 듯하다) 이제 아이폰은 안정기로 접어들었고, 애플도 이를 알기에 당장 극적으로 기기 디자인을 변경할 필요성을 느끼지도 못할 것이다. 그리고 잡스의 부재로 이 꼴이라 하시는 분들은 3GS 이후의 아이폰을 생각해보시라. 다 아이폰 5 수준의 덜하면 덜했던 변화점들을 보였다. 그리고 애플은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를 소개할 때 혁신을 해내지만, 보통 그 이후 제품은 약간의 보수적 성향을 유지했었던 것 또한 사실이다.

그리고 애플의 혁신의 부족은 전반적 산업 자체의 분위기 때문이라는 말도 있다. 와이어드의 맷 호넌은 “아이폰 5는 엄청나게 놀라운 동시에 엄청나게 지겹다”라는 글에서 이런 말을 한다:

큰 관점에서 보면, 애플의 디자인적 피로는 애플의 경쟁사들 탓으로 돌릴 수도 있다. 모두가 애플을 베끼려 들고 있다. (중략) 삼성의 거의 모든 폰과 태블릿, 그리고 HTC의 많은 모델도 상당히, 어, 비슷한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중략) 그리고 이것도 있다: 그냥 스마트폰 자체가 지겨워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우리는 미래를 보았지만, 증강현실 안경이라던가 손목시계라던가 다 다른 기기들이다.

그렇다. 우리나라에서만 벌써 인구 반 이상이 스마트폰을 쓴다. 얫날 피쳐폰이 그랬던 것처럼, 스마트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보통 필수품이 되면 지겨워질 수밖에 없다. 그건 IT 산업의 섭리이다. 거기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모든 혁신을 애플이 해내기를 기대하는 기괴한 여론도 이러한 사태에 한몫하는 듯하다. 하다못해 삼성은 뭐 혁신하면 안되고, 계속 애플을 베껴야 한다는 의미인 것인가? (내가 싫어하긴 하지만, 갤럭시 노트는 삼성이 한 것치고는 혁신이라 생각한다. 다만 당시 이를 실행한 방법이 좀 많이 안습이었을 뿐이지)

혁신이 아니더라도 아이폰 5는 여전히 애플의 여전한 디테일을 볼 수 있는 스마트폰이다. 처음부터 완전히 재설계했다는 내부와, 45도 다이아몬드 세공으로 반짝이는 느낌을 더한 알루미늄 림, 뒷면의 투톤 디자인(특히 블랙 & 슬레이트는 정말…), A6 프로세서, 더 진화한 카메라 시스템까지. 혁신이 없더라도 아이폰 5는 이미 최고의 스마트폰이라고 하는 외신도 많고, 나도 동의한다. (이건 굳이 내가 맥, 아이폰, 아이패드의 삼위일체를 이룬 사람이라서 그런 건 아니다)

결론은 이거다: 아이폰 5는 멋진 스마트폰이다. 내가 현재 이 상황만 아니었어도 바로 샀을 것이다. 그리고 멋진 제품을 만드는 데 무조건 혁신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혁신이 없어도, 이미 아이폰 5는 최고의 스마트폰 중 하나다. 혁신이 없더라도, 아이폰 5는 불티나게 팔려나갈 것이다.

Categories
Apple KudoTech

새로운 아이패드: 생각들

(출처: Apple)

오늘 예상대로 3세대 아이패드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모두가 예상했던 아이패드 3나 아이패드 HD가 아닌, 그저 “새로운” 아이패드 (the new iPad)라는 이름으로 말이다. 그냥 줄여서 뉴 아이패드라는 이름으로 이번 글을 써볼까 한다.

 

작명의 변화가 시사하는 것은

(출처: Engadget)

원래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는 이름 뒤에 번호나 신기능을 암시하는 접미어를 붙여 모델을 구분지었다. 아이패드 2나 아이폰 4S같은 경우가 그러했다. 하지만, 이번 아이패드는 그러한 접미어를 모두 빼고 그냥 뉴 아이패드라고 소개했다. 이는 어떤 것을 시사하는 것일까.

애플이 사실 새로운 세대의 제품을 소개할때 “뉴”라는 접두어를 붙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은 아니다. 사실, 늘 그랬다. 맥도 그랬고, 아이팟도 그러했다. 그래서 대부분 세대를 따로 붙여서 모델을 추적하곤 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이제 아이패드도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확고하 하기 위해 접메어를 떼버리기로 결심한 것일수도 있겠다. 개인적으로는 저러는게 더 깨끗하고 보기 좋은 것 같다. 나중에 아이폰도 그리 되려는지는 모르겠다. 기즈모도는 확실히 그렇게 생각하는거 같던데 말이지.

 

레티나 디스플레이 & A5X

(출처: Apple)
클릭하면 확대된다.

뉴 아이패드에 드디어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들어갔다. 이미 1년 반 전에 아이폰 4에 들어갔던 레티나 디스플레이는 사실 아이패드 2 출시 전에도 루머가 돌았으나, 당시에 나는 현재 칩셋 기술로는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돌릴 수 있을만큼의 해상도를 지원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사실 이번에도 같은 루머가 돌 때도 의심을 지우지 않았던건 사실인데, 결국 현실이 되어 나타났다.

레티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2048×1536. 이 해상도가 얼마나 미친것인가 하면, 풀HD를 지원하는 텔레비전의 화소수보다 100만 개 정도 많은 것이다. 그리고 그 화소들을 전부 TV 크기의 1/4 크기도 안 되는 크기에 쑤셔넣은 셈이 된다. 사실 아이폰 4에서 처음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맛봤을때도 경악을 했던 기억이 나는데, 픽셀 밀도야 아이폰의 것보다는 떨어진다 할지라도 (아이폰은 326ppi, 아이패드는 264ppi) 그 넓은 화면에서 레티나 디스플레이의 선명도를 자랑한다면 가히 엄청난 기술력이라 할 수 있겠다. 의견들을 보니 레티나 디스플레이의 추가를 약간 얕보는 분들도 많은데, 사실 이가 시사하는 바는 크다.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탑재함으로써 가독성이 상당해지기 때문에 이북 독서에 상당히 유리해지는 상황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아이포토나 아이무비 등 애플이 열심히 밀고 있는 생산적 일에도 훨씬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게 될 것이다. 게다가 단 한 달 반 전에 디지털 교과서의 새 장을 열겠다면서 야심차게 내놓은 아이북스 2를 생각해서라도, 애플 입장에서는 해상도를 높여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급선무였을 것이다. 다만 이제 교과서 제작자들이나 앱 개발자들 입장에서 “망했어요”를 외치게 되는 경우는 어쩔수 없는 부수적 피해랄까. 아 망했어요 (…)

 

레티나급의 해상도를 지원해야 하니, 그래픽 프로세서도 업그레이드가 되어야 했음은 물론이다. 뉴 아이패드에는 A5에서 그래픽 성능을 올린 A5X 프로세서가 들어간다. A5와 CPU 코어는 같지만, 그래픽 코어를 듀얼 코어에서 쿼드 코어로 업그레이드를 시켜줬다. (PS Vita와 같은 코어라는 소문이 있다) 이를 이용해 저 거대한 해상도를 돌리는 것은 물론이고, 이 해상도에서 인피니티 블레이드: 던전같은 고사양의 게임도 문제없이 돌릴 수 있게 됐다. (생각해보면 아이패드는 이제 Xbox 360이나 PS3보다도 더 큰 해상도의 게임을 무리없이 돌리는 괴물이 된 셈이다. 그것도 모바일 기기가!)

이렇게 많은 향상점으로 인해 잠재적 전력 소모량도 많이 올라갔을 터인데, 애플은 10시간의 배터리 시간을 그대로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어떻게? 무식한 방법이다. 바로 배터리 용량을 70%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기존 아이패드 2는 6,944mAh의 배터리 용량을 가지고 있었는데, 뉴 아이패드는 무려 11,666mAh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율로 계산해볼때 기존 아이패드 2의 배터리를 그대로 채용했다면 배터리가 6시간밖에 버티지 못했을 것이란 계산이 나온다고 한다) 그 덕에 뉴 아이패드의 두께는 9.4mm로 아이패드 2에 비해 1.1mm, 무게는 기존 603g에서 49g 늘어난 652g이다. 그래봤자 여전히 1세대 아이패드에 비하면 여전히 얇고 가벼우며, 사실 70% 더 큰 용량의 배터리를 박아넣었는데 저 정도밖에 안 늘어난 것도 엄청난 엔지니어링이라 할 수 있다.

 

LTE

(출처: Apple)

뉴 아이패드는 애플이 요즘 대유행인 LTE를 지원하는 첫 모바일 제품이다. 역시 무선 연결의 속도를 향상시켜 어디서든지 최고의 생산성 장비가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 아닐까 싶다. (내가 보기엔 애플이 LTE를 너무 빨리 채용한거같지만 알게 뭐야) 거기다, 모든 LTE 모델은 국제 3G 로밍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래서 버라이즌 모델은 LTE와 CDMA뿐만 아니라 HSPA+, DC-HSDPA, HSPA, GSM까지 모두 지원하는 아스트랄한 기기가 됐다. 흠좀무)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할 때, 우리나라에서는 그림의 떡이다. 일단, 주파수가 전혀 맞지 않는다. 현재 뉴 아이패드가 지원하는 LTE 주파수는 700/2100MHz로, 현재 국내 통신사에서 지원하는 주파수와는 상당히 동떨어져 있다. 그나마 LG U+가 올해 말에 2100MHz 주파수를 지원할 예정이라고는 하나… 현재로서는 별 방도가 없는 셈이다. 그나마 다행인건 LTE 모델에 3G 칩셋도 있어서 3G 모델처럼 쓸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설정에 LTE 끄는 옵션이 없다네? 망했다…

 

카메라

 

(출처: Apple)

아이패드 2의 카메라는… 쓸모가 없었다. 100만 화소밖에 안되는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그냥 안습이었다. 그나마 동영상은 좀 봐줄만 했지만, AF도 없는 센서라서 화질이 아주 좋은건 아니었다. 뉴 아이패드에서는 이 문제를 크게 개선시켰다. 일단 센서는 500만화소까지 키웠고 (솔직히 300만화소도 충분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거기에 아이폰 4S를 그리도 최강의 카메라로 만들었던 광학 기술을 그대로 적용시켰다. 얼굴 인식 AF 지원도 가능하다. 뉴 아이패드의 카메라를 써본 외신기자들은 대부분 상당히 좋다는 반응을 보였다. 자체적 손떨림 보정 기능이 내장된 1080p 동영상 녹화는 덤이다.

 

생산성

 

아이패드용 iPhoto
(출처: Apple)

애플은 이번에 뉴 아이패드를 발표하면서 아이라이프 소프트웨어 제품군에서 마지막으로 남아 있었던 아이포토를 iOS로 포팅시켰다. 아이포토는 아이라이프 제품군 중에서도 가장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는 앱이기 때문에 이가 시사하는 바는 크다. 애플이 준비한 데모에서 아이패드는 아이포토를 이용해 니콘 D300s에서 찍은 사진을 문제없이 보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애플에 따르면, 아이패드용 아이포토는 최대 1,900만 화소의 이미지를 다룰 수 있다고 한다)

아이패드는 발매 때부터 “컨텐츠 생산이 아닌 소비를 위한 기기”라는 얘기를 계속 들어왔다. 뭐 그게 아주 나쁜 것은 아니지만서도, 이 문장이 아이패드의 사용성을 크게 제한시켰음은 물론이다. 물론, 기기 확장성이 극히 제한적이었다는 것도 상황을 크게 돕지는 않았다. 애플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작년 아이패드 2가 나왔을 때는 아이무비와 개라지밴드를 아이패드로 옮겼고, 이번에는 아이포토까지 옮긴 것이다.

애플은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으로 아이패드를 내놓았을때 카메라 연결 킷을 같이 내놓았었지만, 문제는 그걸로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었다. 아이포토가 나오면서, 그 문제가 드디어 해결이 된 것이 아닌가 싶다. 카메라로 사진을 찍은 다음에 현장에서 바로 아이패드로 전송해서 간단하게 편집을 할 수 있는 루트가 완성이 됐으니 말이다. 지금까지는 아이포토처럼 이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앱이 존재하지 않았었다. 애플에서는 어퍼쳐같은 프로 앱도 아이패드로 옮길 것이냐는 질문에 말을 아끼긴 했지만 검토를 해보고 있다고 말했을 정도로 애플이 아이패드를 생산적인 기기로 만들기 위해 부단한 애를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이번 뉴 아이패드의 개선점들은 바로 이 “생산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산물들이다. 가독성을 비약적으로 높인 레티나 디스플레이나, 이를 지원사격해줄 A5X 프로세서, 빠르고 효율적 데이터 처리를 위한 LTE, 500만화소 iSight 카메라, 같이 발표된 다양한 생산성 앱들, 그리고 1월에 발표한 디지털 교과서 플랫폼 아이북스 2까지. 뉴 아이패드는 컴퓨터 없이도 컴퓨터 수준의 생산적 일을 담당해야 할 본격적 포스트 PC 시대를 열기 위한 애플의 새로운 시도가 아닐까.

P.S) 뉴 아이패드에 시리가 빠진 것이 말이 많은데, 이는 두 가지 이유에서일 듯 하다. 1) 시리는 인터넷 연결이 지속적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 아이패드같은 경우는 이 연결을 보장할 수 없다. 음성 딕테이션이야 직접 타이핑을 하는 2차적 방법이 있지만, 시리는 그런 방법조차 없기 때문에 빠졌다. 2) 시리의 역할은 ‘개인 비서’다. 하지만, 아이패드는 개인적이라 하기엔 너무 크기가 크다.

Categories
Apple KudoColumns KudoTech

Steve Jobs. (Kor)

때는 2008년 1월이었다. 고등학교에서, 내 친구 알렉스는 열심히 애플 홈페이지를 보고 있었다. 그가 보고 있었던 것은 바로 애플의 홈페이지였다. 그날은 맥월드 2008이 열린 날로, 맥북 에어가 막 발표되었던 날이다. 솔직히, 당시에 애플에 별 관심이 없었던 나는 (안다, 참 놀라운 일이지) 그날 맥월드가 열린 줄도 몰랐다. 알렉스는 직접 키노트를 보기 전까지 확인하지 않으려 했는데 결국 굴복당하고 애플 홈페이지를 확인했던 것이다. 결국 그날 밤, 나도 궁금증이 생겨 애플 홈페이지에 접속을 했다. 참 느린 인터넷에서 상당한 인내심을 가지고 봤던 기억이 남아있다. 이때서야 나는 스티브 잡스라는 사람에 대해서 흥미가 생기기 시작했다. 물론, 그전부터 잡스를 몰랐던 것은 아니지만, 거의 이름만 알았다고 보는 것이 맞지 않았을까 싶다. 그때부터 잡스와, 잡스가 만든 애플이라는 곳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던 게 아닐까 싶다. 결국, 그 해 노트북 등의 내 가젯들은 거의 모두 애플제로 바뀌어있었다. (그 때 산 첫 맥이 아직도 쓰고 있는 2008년형 맥북 프로다)

스티브 잡스는 다른 IT 업체의 거물들과 확실히 다른 길을 걸어온 인물이다. 엘리트 집안에서 태어나 명문대를 졸업하고 정석적으로 코스를 밟아온 다른 사람들과 달리, 그는 입양아였고 대학은 중퇴했으며 심지어 자신이 설립한 회사에서 쫓겨나기까지 했다. 숱한 실패와 고난을 겪은 인물이었던 셈.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그가 만든 제품들은 하나같이 많은 사람들의 상상에서 벗어난 제품들이었다. 특히 최근의 아이폰이 그랬고, 아이패드가 그랬다. 이들 제품은 대표적으로 루머내용에서 가장 많이 벗어난 제품들이었다. 전문가들은 늘 그 제품들이 왜 성공하지 못할 것인지에 대해 열심히 떠들어댔지만, 결국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이패드는 발매 당시에 끽해야 한해동안 3~4백만대밖에 팔지 못할 거라고 예상했지만, 결론적으로 출시 1년이 되기도 전에 1,500만대를 팔아치웠다)

물론, 이런 성공들에는 잡스의 현 제품들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아무도 생각해내지 않은 방법으로 돌파해낼 수 있는 창의성도 한몫했지만, 그와 함께 ‘간단함’이라는 무기를 내세울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아무리 아이디어가 좋다 한들, 사용법이 복잡하다면 별 소용이 없는 셈이니까. 잡스가 창조해낸 애플의 제품들은 모두 사용법이 ‘이게 정녕 진보된 IT 제품인가’라는 의문을 던지게 할 정도로 간단했다. 1살짜리 아기가 곧잘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잘 쓰더라는 동영상은 꽤 유명하다. 그덕에 스마트폰이 육아에 문제가 되네 마네라는 논란도 끊이지 않는 건 덤이다. 아이패드가 최근 교과서를 출시한 아이북스 2와 더불어 새로운 교과서 플랫폼으로 각광받게 되는 것도 이 맥락에서가 아닐까.

이러한 간단함은 잡스의 사용자 경험, 즉 UX에 엄청난 집착(?)을 하기 때문이었다. 잡스는 당시의 최신 기술이 있더라도 UX에 해가 될 것이라는 판단이 서면 과감히 포기했다. 이 일관된 UX를 위해 폐쇄적 시스템을 채용한 점은 아직도 오픈 소스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가루가 되도록 까이고 있다. 하지만, 오픈 소스를 채용한 안드로이드의 UX는… 망했어요 그만큼 UX 면에서는 맥이나 아이폰, 아이패드를 따라올 것이 없었다. 심지어 생각대로 하면 되는 게 애플의 UI라는 말도 있을 정도다.

그렇게 잡스는 1997년 애플의 CEO로 금의환향한 이후 15년 좀 안되는 기간동안 애플을 파산직전의 절망상태에서 세계에서 현금 보유고가 가장 많은, 세계에 가장 영향력이 많은 기업 중 하나로 발전시켰다. 애플, 아니 잡스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아무리 경쟁제품을 쓴다 할지라도, 결국은 그 제품도 잡스가 만든 제품의 영향을 받았다는 아이러니를 생각해봐도 잡스가 얼마나 많은 영향력을 가진 인물이었는 지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가 죽기 전 짜놓은 계획들과 그의 영향을 받은 현 애플의 윗분들 덕에 잡스의 입김은 당분간은 유지될 것 같다.

잡스의 숱한 인간적 문제점들은 뒤로 하고, 나는 잡스를 그의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바꾸어버린 아이디어들로 기억하고 싶다. 그의 아이디어들은 지금 우리가 쓰는 제품들의 모태가 되었고, 그리고 그 아이디어들은 계속해서 우리에게 새로운 변화를 주고 있다. 그는 이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아이디어들 만큼은 계속해서 남을 것이고, 계속해서 우리를 놀라게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