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pple KudoTech weirdmeetup

매킨토시 30주년: 쿠도군의 맥 이야기

맥이 발표 30주년을 맞았다. 지금으로부터 딱 30년 전, 스티브 잡스는 가방에서 매킨토시를 처음으로 꺼내 선보였었다. 그로부터 지금까지 맥은 다양한 풍파를 견뎌내고 지금도 판매되고 있다. 단일 컴퓨터 브랜드로는 아마 최장수 브랜드일 거다.

30주년을 축하하면서, 나의 맥 생활을 뒤돌아보기로 했다. 내가 아는 다른 많은 분들과 비교해보면 나는 비교적 최근에야 맥을 장만한 편이다. 하지만 맥은 그 뒤로 충분히 내 컴퓨팅 인생을 뒤흔들어놓았다.

소유 이전: OS X에 적응하기

내가 맥을 처음 만난 것은 미국으로 유학을 간 지 얼마 안 돼서였다. 당시 나는 연감을 만드는 부서에 소속되어 있었는데, 출판이 주로 하는 일이다 보니 거기에는 맥들이 비치되어 있었다. 내가 기억하기에 그 모델들은 애플이 교육시장용으로 보급한 이맥 eMac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처음으로 OS X을 마주쳤고, (10.4 타이거였던 거까지 기억한다.) 아무도 나에게 OS X 사용법을 가르쳐주지 않았기에 나는 독학을 해야 했다. 일하면서도 계속 윈도우와 OS X의 다른 점에 계속 적응해갔다. (가장 힘들었던 개념: “왜 창을 닫는데 앱이 안 꺼지는가?”)

11학년에는 이맥들이 모두 아이맥으로 교체되었고, 그와 동시에 쓰던 노트북이 고장 나 개인용 노트북이 없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결국, 나는 연감 사무실에 있는 아이맥에 내 학교 계정으로 들어가 거의 메인 컴퓨터처럼 사용해야 했다. 내 사진 라이브러리, 음악 파일들까지 전부 저장해두고 시간이 날 때마다 들러 거기서 시간을 보내곤 했다. (그러고는 학교 내 IT 담당 부서에서 학교 내 데이터를 자기들 다음으로 제일 많이 먹는다고 욕먹기도 했다.) 이 맥으로 학교 상대로 내 최초의 키노트 프리젠테이션을 만들기도 했다.

그 해 초에는 내 첫 애플 제품인 아이팟 터치도 샀다. (당시에는 아이클라우드 따위도 없었기 때문에 학교 맥에다가 열심히 동기화했다.) 그다음으로 맥을 사는 건 시간문제였다.

2008년 ⎯ 맥북 프로

2009-02-25 at 18-14-01공연 연습을 도와주고 있는 모습.

모델: 맥북 프로 15인치 (2008년 초기형)
구매 일시: 2008년 5월 31일
사양:

  • Intel Core 2 Duo T8300 (2.4GHz 듀얼 코어)
  • 2GB 667MHz DDR2 RAM (추후 4GB로 자가 업그레이드)
  • 엔비디아 8600M GT (256MB 외장 메모리)
  • 200GB 5400rpm 하드 드라이브 (이후 500GB 7200rpm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로 자가 업그레이드)

결국 2008년 5월 31일에 용산에서 맥북 프로를 처음으로 사게 되었다. 이 모델의 맥북 프로는 2008년 10월 유니바디 버전이 나오기 전 마지막 모델이다. 곧 유니바디 버전이 나올 거라는 이야기를 듣기는 했으나, 다음 학기로 돌아가기 전에 필요했으니까 살 수밖에 없었다. 당시 기본형으로 샀었는데, 220만원 정도하는 것을 200만원으로 어떻게 네고해서 살 수 있었다. (어떻게 했는 지는 묻지 말자.) 이 할인받은 돈으로 애플케어를 질러줬다.

2009-03-07 at 20-19-08가끔씩은 학교에 있는 시네마 디스플레이를 빌려쓰곤 했다.

이 맥을 지르자마자 학교로 돌아가니, 학교 공식 사진기자라는 나름 큰 일이 떨어졌다. 나는 역시 당시에 산 DSLR과 함께 사진을 촬영했고, 맥으로 편집을 했다. 포토샵 실력은 영 없었을 때라 (사실 지금도 없다.) 어퍼쳐로 간단히 보정을 해주는 정도였다. (그리고 아직 초짜였던 때라 보정에 대한 개념도 잘 안 잡혔을 때였다.) 하지만 그러한 사진들은 고등학교의 공식 자료에도 쓰였고,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어떻게 보면 내 맥북 프로는 내가 사진 생활을 제대로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 동반자였던 셈이었다.

2009-03-15 at 03-07-41사촌 누나의 맥북 프로와 함께. 내 것보다도 더 구형이었는데, 지금도 현역이라는 말을 들었다. 대단하다.

내가 이 맥을 쓰면서 놀랐던 것은 오랫동안 썼다는 것이었다. 요즘은 많이 나아졌지만, 옛날의 나는 기기들을 상당히 험하게 쓰는 편이었다. 그래서 이전에 썼던 소니 노트북들은 모두 2년을 못 채우고 나가떨어졌다. 물론 이 맥북 프로도 내 험한 습관 덕에 하드도 두 번 나가고, 로직 보드도 한 번 나갔으며, 아래의 고무 패킹은 다 나가떨어지고, 알루미늄 보디도 휜 곳이 있었지만, 무려 5년 가까이 버텼다. 그 이유는 단 하나, 바로 애플케어 덕분이었다. 맥이 고장 났을 때마다 애플 스토어나 공인 서비스센터에 가지고 가면, 거의 모든 내부 부품을 무료로 수리받을 수 있었다. 그렇게 3년을 수리비 걱정 없이 쓸 수 있었다. 그리고 보통은 모두 보증기간이 끝나면 바로 망가지기 시작한다는데, 나 같은 경우는 오히려 보증기간 이후에 잔고장 없이 2년을 더 쓸 수 있었다. (아마 직후에 군입대를 해서 사용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진 것도 이유일 게다.)

2013년 ⎯ 맥북 프로 레티나 디스플레이

2013-03-07 at 17-33-43 (1)두 번째 맥이 된 맥북 프로 레티나 디스플레이는 맥의 미래를 암시하는 노트북이다.

모델: 맥북 프로 레티나 디스플레이 15인치 (2013년 초기형)
구매 일시: 2013년 2월 21일 (수령일: 2013년 3월 6일)
사양:

  • Intel Core i7 3740QM (2.7GHz 쿼드 코어)
  • 16GB 1600MHz DDR3 RAM
  • 엔비디아 GT 650M (1GB 외장 메모리)
  • 512GB SSD

나의 첫 맥북 프로를 이을 맥을 찾는 작업은 군대에 있는 내내 진행됐다. 이미 입대 당시에 3년을 넘긴 상황이었기 때문이었다. 처음에는 맥 미니도 생각했었다. 가격도 싸고, 유학생 신분에 들고 다니기도 편했기 때문이다. (모니터와 키보드는 한국 미국에 하나씩 두고 본체랑 마우스는 캐리어에 던져넣으면 됐거든. 그런데 이건 이제 신형 맥 프로에도 적용된다는 게 함정) 그러나 WWDC 2012에서, 애플은 나의 이러한 모든 계획을 박살 내버릴 만한 제품을 발표해버렸다. 바로 맥북 프로 레티나 디스플레이였다. 그 순간부터 다음 맥은 그냥 이 차세대 맥북 프로로 정해졌다. 결국, 2013년 초기형이 나오자마자 군대 사지방에서 주문을 했다. 기본형을 주문했던 지난 프로와 달리 이왕 오래 쓸 거 아쉽지 않게 주문하라는 부모님의 떠밀림(?)에 고급형으로 주문했다. (거기다가 노트북 자체가 자가 업그레이드가 거의 불가능한 점도 한몫했다.)

2013-11-29 at 13-17-46

새로운 맥북 프로를 받아들었을 때, 5년간 얼마나 많은 변화가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 통짜 알루미늄판으로 만든 유니바디 본체는 견고해졌고, 성능은 크나큰 발전을 이뤄냈다. 무엇보다 화면 덕분에 눈이 많이 호강하고 있다. 사진 편집할 때 엄청난 디테일에 아직도 깜짝 놀라곤 한다. 이 화면에 눈을 이미 버려 외부 모니터를 못 들이고 있는 것도 함정이다. (그런데 데스크톱 환경으로 쓰기에는 화면이 작아 보여서 아쉽긴 하다. HDMI 단자가 4K 지원을 안 하는 건 더 아쉽다.) 배터리 또한 발군이다. 예전에는 배터리 시간이 너무 짧아서 배터리를 쓰는 것 자체가 겁이 많이 났었는데, 7시간이나 가는 이 노트북은 어딘가에 도착하면 무작정 콘센트부터 찾는 습관을 고치게 됐을 될 정도로 오래간다.

2013-04-04 at 14-35-43 (1)맥북 프로 레티나 디스플레이는 어디에 있던 무조건 작업실로 변하게 해줄 수 있었다.
서울모터쇼의 어느 벤치에 앉아 있는 상황에서도 말이다.

이 새로운 맥북 프로는 내가 매일 하는 사진 편집이나 블로깅, 웹 서핑, 이따금 게임까지 다양한 일을 너무나도 쉽게 소화해내고 있다. 쿠도블로그와 쿠도블러에 쓰는 글들, 내가 공유하는 사진들, 그 외에도 다양한 것들이 모두 이 맥북 프로에서 만들어진다. 이 노트북은 현재에 존재하지만, 아직도 미래의 길을 미리 제시해주는 것만 같다. 이 맥북 프로는 이제 앞으로 오랜 시간 동안 나의 작업을 묵묵히 도와줄 동반자가 되지 않을까.

2013-03-07 at 17-44-05어느 맥이던, 사용하는 것이 즐겁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올해로 내가 맥을 쓴지도 6년이다. 그동안 맥은 내가 컴퓨터를 쓰는 방식을 완전히 변화시켰다. 옛날에는 이것저것 건드리는 것을 좋아했는데, 이제는 최대한 순정으로 내버려둔다. (튜닝의 끝은 순정이라 하지 않던가?) 또한, 지금 하는 많은 일도 맥이 아니었으면 상상도 못했을 것들이다. 사진이라던가, 지금의 블로깅이라던가 모두 맥 덕분에 가능한 것들이었다. 나 외에도 맥은 30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켰다. 그리고 앞으로도 맥은 그런 존재가 되지 않을까 싶다.

Categories
Apple KudoTech KudoTranslate weirdmeetup

KudoTranslate: 맥 30주년을 맞으며 애플 중역들을 만나다: ‘맥은 영원히 갈 겁니다.’

By Jason Snell

이 글은 Macworld에 기고된 “Apple executives on the Mac at 30: ‘The Mac keeps going forever.’” 글을 번역한 것이다.

30년 전에, 애플은 매킨토시를 처음으로 소개했고, 우리는 왜 1984년이 “1984”같이 되지 않을 것인지 알게 되었다. 30년 동안 많은 게 변했지만, 상당히 빠르게 움직이는 기술 산업임에도, 애플과 맥은 살아남았다. 스티브 잡스의 첫 맥 소개를 보자마자 30년 뒤로 날아온 시간 여행자라면, 현세대 아이맥을 지목하고는 오리지널의 논리적인 진화라고 말할 것이다.

“우리가 맥을 만들기 시작할 때 같이 컴퓨터를 만들었던 회사들은 이제 전부 없습니다.” 목요일에 애플의 쿠퍼티노 캠퍼스에서 한 인터뷰에서 애플의 마케팅 수석 부사장인 필립 쉴러 Phillip Schiller는 말한다. “이제 우리만 남았죠. 우리는 계속하고 있고, 우리 자신을 계속해서 재발명하려 노력하기에 다른 PC 산업보다 성장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맥을 앞으로 급진전하게 한 것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등장이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맥의 행보는 계속 직진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내부를 뜯어보면, 맥을 구동하는 운영체제는 애플이 1996년에 넥스트(와 스티브 잡스)를 인수하면서 최초의 버전과 매우 다르다. 데스크톱 컴퓨터로 첫선을 보였지만, 지금 팔리는 맥의 2/3 이상이 노트북이다.

“이 컴퓨터가 맥이라고 구분할 수 있는 가치들이 너무 많아서 지금까지도 계속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애플의 다양한 개발팀들은 맥을 만들어오면서 필요없는 것들은 가차 없이 버릴 수도 있었다. 그러나 30년 후에도 첫 맥의 너무나도 많은 요소가 아직도 남아있어서, 맥은 부정할 수 없는 맥 그 자체로 남아있다.

현재 애플의 소프트웨어 기술 부서의 부사장으로 있는 버드 트리블 Bud Tribble은 첫 맥 개발팀에도 소속되어 있었다. 그래서 1984년형과 2014년형 모델을 둘 다 바라볼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놓여있는 사람이다.

“첫 맥에는 수많은 고민과 창의력이 들어갔습니다.” 트리블이 말했다. “그러다 보니 30년 후에도 남아있을 수 있는 튼튼한 DNA가 남아있는 겁니다. 그 DNA의 힘과 그 DNA가 의미하는 것들 — 맥은 그냥 보는 것만으로도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의지에 굽혀야지, 사용자가 기술에 굽혀서는 안 된다는 것 — 은 우리의 다른 제품들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기도 하죠.”

아이폰에 의해 살아나다

오늘의 애플은 맥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난 10년 동안 처음에는 아이팟, 지금은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애플의 가장 많이 팔리는 기기들이 되었다. 이 때문에 맥이 곧 사라지거나 애플에게 상당히 낮은 우선순위의 사업이 될 것이라는, 애플과 관련된 것이라면 필수적인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하지만 쉴러와 트리블, 그리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인 크레이그 페데리기 Craig Federighi에게 물어보면, 그들은 매우 다른 이야기를 하게 될 것이다.

“맥을 앞으로 급진전하게 한 것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등장이었습니다.” 트리블이 말했다. 그에 의하면 애플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팀을 모바일 제품 개발에 투입함으로써 맥 개발이 극적으로 활성화됐다고 말했다. “아이디어의 상호 교환과 [맥과 iOS 팀이] 같은 팀이라는 소속감이 맥의 발전을 우리가 바랐던 것보다 더 빨리 가속화시켰습니다.”

“우리가 사람들에게 제공하려는 경험 그 자체는 변한 것이 없습니다.” 쉴러가 말했다. “우리가 지금 있는 곳이 놀라운 것은, 두 곳에 모두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맥 트랙패드에 멀티터치 제스쳐를 구현한 것을 아이팟 터치에서 아이패드까지 이어져 오는 경험을 개인용 컴퓨터의 환경에서도 동작하게 해냈다는 것에서 생각해보면… 정말 멋진 거죠.”

물론,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성공 때문에 맥이 iOS와 충돌할 것이고, 결국 통합되어 모든 기기에 동일한 애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소문도 있었다. 애플의 모든 소프트웨어 사업을 총괄하는 사람으로 페데리기를 뽑은 것도 그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겠지만, 그는 맥이 맥답게 남을 것이라고 고집스럽게 말한다.

“맥을 iOS처럼 만들으려고 하는 바람에 맥답지 못해졌다는 말을 들어서는 안 됩니다. “

“OS X이 iOS와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것은 하나가 다른 거 이후에 나와서도 아니고, 이건 낡았고, 저건 새것이어서가 아닙니다.” 페데리기가 말했다. 마우스와 키보드로 조작하는 것은 터치 화면으로 조작하는 것과 다르기 때문이란다. “이 기기는,” 페데리기가 맥북 에어의 화면을 가리키며 “30년 동안 갈고 닦아”서 키보드와 마우스에 최적화되었다고 말했다. 쉴러와 페데리기 모두 PC에 터치 화면을 탑재하거나 태블릿에 클램쉘 키보드를 부착하려는 것 모두 부질없는 것이라고 입 모아 말한다.

“터치 화면을 기기에 얹는 건 쉽지만, 과연 그게 좋은 경험을 제공할까요?” 페데리기가 말했다. “우리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건 하나[의 인터페이스]여야 해!’ ‘어떻게 [이 다른 운영체제들을] 융합하지?’라는 생각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습니다. 그건 엄청난 에너지 낭비거든요.” 쉴러가 말했다. 하지만 그는 애플이 맥과 iOS 기기 사이에서 사용자들이 전환할 때 최대한 장애물이 없도록 하려 노력한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메시징 앱이나 캘린더 앱이 iOS나 OS X 모두 같은 이름으로 하는 것같은 것 말이다.

“각각의 기기의 목적을 무시하고 [OS X과 iOS가] 같아져야 한다고요? 융합을 위해서 융합을 하자고요? [그런 건] 절대 있을 수 없습니다.” 페데리기가 말했다. “맥을 iOS처럼 만들으려고 하는 바람에 맥답지 못해졌다는 말을 들어서는 안 됩니다. 그와 동시에 맥은 [이] 회사가 디자인하고, iOS는 [다른] 회사가 디자인하는 바람에 공통적 비전이 보이지 않아서 달라보인다는 말을 들어서도 안 됩니다. 우리는 우리를 이끄는 공통된 미학과 원칙을 가지고 각각의 용도에 맞는 최고의 기기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해가 되는 부분에서는 똑같지만, 그들이 존재하는 궁극적 이유에서는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퍼즐의 한 조각

애플의 중역들과 얘기하다가 느끼는 것은, 애플은 사람들이 노트북이나 태블릿, 스마트폰 중 굳이 하나를 고를 필요가 없다고 믿는다는 것이다. 애플은 각각의 제품이 다른 일에 맞는 각자의 특장점이 있고, 사용자는 그 용도에 맞게 쉽게 기기를 바꿔가며 써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30년이 지난 지금에도 맥은 여전히 중요한 카테고리인 것이다 — 어디선가에서는 키보드와 트랙패드가 최고의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건 혹은/아니면의 문제가 아닙니다.” 쉴러가 말했다. “가지고 있는 기기가 전화기던, 태블릿이던, 컴퓨터던 고를 필요가 없는 세상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기기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얼마나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이 사람은 노트북 쓰는 사람, 저 사람은 태블릿 쓰는 사람 이럴 필요가 없다는 말이죠.”

“[맥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역할은 계속해서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아직도 그 역할의 끝을 보지 못했습니다.”

이 세 명의 중역과 인터뷰를 하기 위해 애플 사무실에 들어갔을 때, 그들은 내가 전화기, 태블릿, 노트북을 모두 챙겨왔고, 결국 맥북 에어로 인터뷰를 진행했다는 사실을 눈치챘다. (맥의 30주년에 대한 인터뷰를 하는데 아이패드로 진행하는 것은 배신하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다양한 도구를 가지고 계셨는데,” 페데리기가 내 가방을 가리키며 말했다. “이 일을 하는 데 가장 알맞다고 생각하신 도구를 꺼내신 거잖아요? 그저 연산 처리 능력이 더 좋아서 선택하신 게 아니라는 거죠 … 이 일을 하는 데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하셨기 때문에 선택하신 겁니다.” 어떨 때는 더 많은 창을 열어놓을 수 있는 더 큰 화면을 원할 테고, 어떨 때는 그저 소파에 편하게 앉거나 버스 정류장에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상황에 딱 어울리는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폼 팩터가 존재하는 법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러한 다른 상황에 딱 어울리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모든 일을 하나로 해결하려는 솔루션보다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맥은 이제 어디로?

10년 전에 나는 맥의 20주년을 기념해 스티브 잡스와 인터뷰하면서 맥의 장기적 미래가 애플이 하는 것에서 중요한 부분이냐고 물어본 적이 있다. 아이팟은 날개돋친 듯이 팔리고 있었고 사람들은 애플이 맥을 이제 뒤에 버리려고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을 때였다.

그래서 나는 잡스에게 맥이 애플의 미래에서 중요한 부분이냐고 물었다. 그는 “당연하죠!”라고 답했다. 그는 최소한 “당연한 거 아닙니까? (원문은 Duh!였는데, 이를 번역할 방법이 마땅치 않아 의역했다. — 역주)”라고 말하지 않는 친절함을 보였다.

10년이 지나, 나는 답이 무엇인지 이미 알 것 같았음에도 같은 질문을 다시 하면 흥미로울 것이라 생각했다. 쉴러와 페데리기, 트리블이 맥에 대해서 얘기할 때, 그들은 애플의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말하고 있었다. 사실, 쉴러가 말했듯이,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성공으로 짐을 좀 덜 수 있었고 “맥을 훨씬 더 진보시킬 수 있는” 원동력을 얻었다. 이제 맥은 모든 사람에게 맞는 것이 될 필요가 없어졌으니까 말이다.

“[맥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역할은 계속해서 있을 것입니다.” 쉴러가 말했다. “우리는 아직도 그 역할의 끝을 보지 못했습니다. 계속해서 맥의 용도는 무궁무진하게 존재합니다. 스마트폰, 태블릿과 함께 원하는 것을 쓸 수 있게 하는 선택권을 주는 것이죠. 우리는 맥이 영원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맥이 가지는 차별성은 매우 특별한 거니까요.”

 

Categories
Apple KudoReviews KudoTech weirdmeetup

KudoTouch: Mac Pro

어제 이어폰이 안 들어가다가 갑자기 들어간 문제 때문에 아이패드 점검을 하러 잠깐 애플 스토어에 갔었다. (결국 예약이 다 차서 오늘에야 다시 점검받았다. 다행히도 정상이라고.)
수리하러 간 김에, 나는 내가 아직 한 번도 못 본 것을 한 번 보기로 했다. 바로 맥 프로다.

2014-01-03 at 08-32-22
내가 매우 크게 보이도록 찍긴 했지만, 사실 매우 작다.
그리고 사진 자체는 좀 검게 나오긴 했지만, 미칠 듯한 광택의 스페이스 그레이 외장에 더 가깝다.
2014-01-03 at 08-36-20
아이폰 5s를 세워보았다.
대강 얼마나 큰 지 실감이 나시시라.
맥월드에서 아이패드 에어를 갖다댄 적이 있는데, 딱 그 정도 키다.
2014-01-03 at 08-33-29
너무 반짝반짝 눈이 부셔
2014-01-03 at 08-34-24
이렇게 외장 포트가 많은 맥은 처음 본다.
2014-01-03 at 08-40-49
애플 권장(?) 기본 셋업.
물론 썬더볼트 디스플레이는 4K도 아니거니와, 4K 썬더볼트 디스플레이가 당분간 나오기는 틀렸다는 함정이 있긴 하지만…

몇 가지 메모.

  • 더 버지 리뷰에서 말한 대로, 공기를 아래서 끌어모아 위로 올려보내는 방식이다. 하지만 내가 사용했을 당시 별로 부하가 가는 작업을 하지 않아서 그런 지 나오는 공기가 시원했다. 심지어 썬더볼트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발열보다 훨씬 차가웠을 정도다.
  • 지문이 잘 묻는 편이다. 하지만 알루미늄의 광택 처리 덕분인지 그 지문이 아주 잘 보이지는 않는다. 반사는 매우 잘 된다.
  • 크기에 비해 많이 묵직한 편이다. 휴대는 아주 먼 출장을 갈 때나 하시는 것을 권장한다.
  • 깔린 앱 중 프로 앱이 없어서 실제 성능은 테스트하기 어려웠지만, 최소한 사파리 불러오는 속도나 아이포토에서 샘플 사진 불러오는 속도를 볼 때 I/O 속도가 미친 듯이 빠르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

그래서 결론은? 가지고 싶지만 절대로 가질 수 없는, 그림의 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