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ndroid Talks KudoTech SmartPhones

구글 음성입력, 음성인식의 새로운 미래를 제시할까?

요즘따라 안드로이드에 관한 글을 계속 쓰는 것 같다. 이제 갤럭시 S를 미국에서도 메인 폰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도 그렇고, (참, 갤스 리뷰 아직 작업중 ㅡㅡ;;) 요즘 여러모로 안드로이드에 관심이 생기는 듯하다.

무튼, 오늘은 구글의 음성입력 기능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한다. 지난주에 구글은 한국어를 위한 음성입력 서비스를 발표했다. 영어에 이어 세계 두번째다. 원래 음성입력은 이번 1월에 넥서스 원이 발표됐을 때 처음으로 채용되었던 기능인데,  이 기능의 골자는 키보드로 하던 입력을 말로 하면 입력을 해주는 기능이다. ‘이론상’으로는 천단어까지 인식할 수 있으며 (물론, 문장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인식율이 떨어진다고는 한다.) 인식 소프트웨어는 구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음성 검색처럼 인터넷(3G 데이터나 와이파이)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일단 할 말은 하고 넘어가자면, 내가 기대하는 건 조금 다른 것에 있다. 구글은 이 음성입력 기능을 새로운 한글 키보드로 발표했는데, 이 키보드의 한국어 사전이 지난번 넥서스 원을 써본 것에서 미루어 봤을때 상당히 좋은 편이다. 단어 예측이나 수정 등이 내가 봤을 땐 iOS 키보드보다도 훨씬 낫다. 갤럭시 S에 기본으로 탑재되는 삼성 키패드는 오류 수정 기능이 아예 없으며 (한국어/영어), 다른 대안으로 쓰는 스마트 키보드는 iOS 키보드보다 더 허접이기 때문에 이 사전에 기대를 걸고 있고, 갤럭시 S를 프로요로 업데이트하면 무조건 받아야할 녀석이다. (그리고 스마트 키보드는 환불해야지 ;;)

하여튼,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자. 음성인식 기능이란 건 옛날부터 존재했었다. 내가 갤럭시 S를 쓰기 전에 쓰던 네살박이 애니콜 스킨 슬라이더폰에도 존재했었던 기능이다. 심지어, 옛날에 안성기가 광고하던 애니콜 플립폰에도 음성인식 기능이 강조되기도 했다. (안성기가 핸드폰 광고한게 언제적 얘긴지…) 하지만 그때의 음성인식은 휴대전화의 기능적 한계때문에 실효성이 많이 없었다. 내가 쓰던 스킨은 뭐 이것저것 할수 있는게 많았었는데 고작 그중 이용해본거라곤 가끔씩 누구한테 전화하는 것정도. 작년에 아이폰을 쓰기 시작할 때도 상황은 많이 달라지지 않았다. 워낙 아이폰이 지원하는 부분이 적었기 때문이었다. (전화걸기와 음악 재생 정도)

하지만 갤럭시 S를 쓰면서 쓸일은 많아졌다. 특히 음성검색은 타이핑하기 귀찮을 때 검색버튼 누르고 말을 (나름 또박또박) 하면 웬만한 건 다 알아듣는다는 점이 상당히 신기했었다. 지난 몇년동안이나 같이 있었던 음성인식 기술이었지만 이것이 스마트폰의 기능과 합쳐지니 참 쓸만하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그리고 드디어 음성입력 기능이 한국어로 나오게 되었다.

구글의 음성인식은 위에서 말했듯이 구글의 서버와 연결되어 있어 온라인으로 인식을 한다. 이의 장점은 물론 구글이 인식 엔진을 업데이트할 때마다 폰을 계속 업데이트해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인식 자체가 서버와 통신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버만 업데이트해주면 사용자들은 앱을 업데이트할 필요없이 업데이트된 인식 기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어차피 스마트폰은 대부분의 시간을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로 보내니 해될 것도 없다. (데이터 사용량에 너무 민감하셔서 3G 데이터를 끄시는 분들 제외… ;;)

궁극적으로, 나같은 경우는 음성입력을 더 쓰게 될 것 같다. 아무래도 유학생 신분이다 보니 두 언어로 음성인식을 하면 좋은데, 음성검색은 시스템 언어에 따라 인식 언어가 바뀐다고 한다. 하지만, 음성입력은 키보드 언어만 바꾸면 언어가 바뀌기 때문에 더 편하다. 검색도 음성검색보다 음성입력을 쓸 거 같다.

마지막으로, 구글 안드로이드의 음성입력은 장애인 접근성 기능에서 상당히 큰 파트를 차지하게 될 것같다. 최근에 학교에서 구글을 초청해 기술 강연을 했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안드로이드 접근성에 관한 강연이었었다. 현재 연구 단계에서는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로 간단한 네비게이션이 가능할 정도였지만, 음성인식으로 명령을 내려보는 건 어떨까란 생각을 했었고, 이를 궁극적으로 합칠 계획도 있다고는 한다. (현재 음성인식 팀과 접근성 팀이 달라서…) 무튼, 묵을대로 묵은 음성인식 기술은 이제 스마트폰과 만나서 점점 재밌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이번 구글 음성입력 기능으로 들게 되었다.

Categories
Android Talks KudoTech SmartPhones

with Google 폰의 진실 (Update)

올해 초에 넥서스 원이 나왔을 때, 나는 전체적으로는 별로 포인트가 없었던 글 ‘넥서스 원은 구글폰이 아니다‘ (정 읽고 싶으시다면 링크를 클릭하시길) 에서 with Google 로고의 의미에 대해서 정리했던 적이 있었다. 그때, 나는 with Google에 대해서 “어떠한 커스텀 스킨을 씌우지 않은 안드로이드 스톡 UI를 사용하고, 구글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한 폰’이라 정의했다. 그 범주에는 HTC 드림 (T-Mobile G1), HTC 매직 (T-Mobile myTouch 3G), 그리고 모토로라 마일스톤 (드로이드, 한국명 모토쿼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괄호 안은 모토쿼티를 제외하곤 미국에서 판매했을 때의 모델명)

근데, 더이상 with Google 로고는 그런 의미가 아닌 모양이다. 최근에 구글이 예전에 넥서스 원을 팔던 google.com/phone 도메인을 구글 폰 갤러리라 해서, 국가별로 파는 안드로이드폰을 쭉 볼 수 있는데, 그중 ‘with Google’ 기기를 클릭하면 리스트가 쫙 나온다. 그 리스트를 쭉 나열해보면(알파벳순):

  • 모토로라 드로이드 2 (마일스톤 2)
  • 모토로라 드로이드 (마일스톤)
  • HTC 드로이드 에리스
  • HTC 드로이드 인크레더블
  • 모토로라 드로이드 X
  • HTC 디자이어 (CDMA)
  • HTC 에보 4G
  • HTC MyTouch (드림)
  • LG Ally
  • T-Mobile myTouch 3G Slide
  • HTC-구글 넥서스 원
  • 삼성 갤럭시 3
  • 삼성 갤럭시 550
  • 삼성 갤럭시 580
  • 삼성 갤럭시 S (한국 버전 포함)
  • 삼성 갤럭시 스피카

이렇게 나온다. 더이상 위의 설명에는 부합되지 않을 기기들인 셈이다. 이중 드로이드와 myTouch, 넥서스 원을 제외하면 죄다 안드로이드 위에 커스텀 UI를 얹어쓰고 있으며, 구글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했을 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많은 양의 기기들이다.

여기에 있는 글을 해석해보면, “구글 폰 갤러리에 있는 모든 휴대전화는 안드로이드 마켓과 구글 검색, 구글 지도, 그리고 지메일 등의 구글 모바일 서비스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with Google 폰으로 가면

“with Google 폰들은 구글 모바일 서비스 사용에 최적화되어 구글검색과 음성검색, 구글 토크, 구글 지도, 지메일, 동기화, 유튜브, 그리고 안드로이드 마켓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뭐, 중간에 보면 with Google 폰에는 음성검색, 구글 토크, 동기화, 유튜브 등의 서비스가 추가되어 있는것처럼 보인다만, 유튜브같은 경우는 with Google 폰이 아니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거 아닌가? 도대체 무슨 차이인거야?! 그리고, 왜 HTC 디자이어 CDMA 버전은 with Google 폰이고, 그냥 디자이어는 with Google 폰이 아닌거지?

도대체 무슨 차이야?!

여기서 일단 한국 섹션을 가보자. 있는 거라고는 HTC, 삼성, 소니에릭슨(더 웃긴건 아직 국내에 정식 출시발표가 나지 않은 X10 미니도 리스트에 있다는점) 등이다. LG야 뭐 옵티머스 원이 막 출시됐고 Q와 Z는 국내용 폰이니 그렇다치고, 그럼 팬택 베가는 왜 없지? 그렇게 with Google 폰임을 강조한 폰인데 말이다. 그리고 의외로 갤럭시 S가 with Google 폰이다. 하지만 이건 국제판에는 with Google 로고가 있는 걸로 봐서는 아마 SKT의 압박으로 어쩔수없이 with Google 로고를 없애고 T 로고를 넣었다고 생각하면 설명이 된다. 개인적으로 나에게는 with Google 로고를 넣는게 브랜드적으로 더 강력했을 것 같지만 말이다. (내가 이 내용을 트윗했더니 동의하는 분도 있었고 반대하는 분도 있었으니 이건 개인차겠지 싶다)

구글 폰 갤러리에 있는 한국 판매 폰들.

그럼 구글이 밝힌 내용을 보고 추론할수 있는 with Google의 진실은 무엇일까? 내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이거다: 바로 라이센스. 물론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고, 공짜로 가져다가 핸드폰이던 세탁기던 (실제로 안드로이드 세탁기가 만들어진 적은 있다) 커스터마이징해 쓸 수 있다. 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덕에 HTC 센스라던지 삼성 터치위즈라던지의 스킨이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 탑재되어 있는 구글 서비스 앱들은 오픈소스가 아니다. Gmail, 구글 지도, 음성검색, 유튜브, 구글 토크, 그리고 심지어 마켓 등의 앱들은 모두 구글이 안드로이드 OS 위에 따로 얹은 앱들으로, 엄연히 구글에게 저작권이 있는 것이다. 굳이 예를 들자면 HTC 센스에 딸려오는 위젯들이나 갤럭시 S에 들어가는 데일리 브리핑이나 소셜 허브 이런 것들은 바로 HTC나 삼성이 만든, 안드로이드 OS 위에 따로 얹은 것들이다. 물론, 삼성같은 경우는 갤럭시 S 롬을 오픈소스로 해두었단 얘기도 있으나 그건 논외로.

다시 구글 서비스 얘기로 돌아가서, 실제로 안드로이드를 베이스로 만든 커스텀 롬 cyanogenMod의 경우, 구글이 개발중지요청 메일을 보낸 적이 있었는데, 이는 안드로이드 OS 자체를 걸고 넘어진 게 아니라, 롬 안에 구글 서비스 앱들을 포함했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었다. 개발자도 이에 동의해 지금은 구글 서비스 앱을 뺀 채로 롬을 만들고 있다. (물론, 이 앱들은 다른 소스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고 한다.)

내 생각엔 위의 cyanogenMod의 건으로 봐서는 with Google 폰이던 아니던 라이센스비를 지불하지 않을까 싶다. 차이점이라면 일종의 레벨이 다른 것일테고(높을 수록 구글에 더 많은 돈을 지불하는게 아닐까), with Google 폰이면 더더욱 구글 서비스와 깊은 연결을 가지고 있을 것이 분명해보인다. 안드로이드 = 구글인 마당에, 이러한 연결이 없는 라이센스비 전혀 없는 안드로이드폰은 진정한 안드로이드폰이라 불리울 지도 걱정스럽다. OS 자체는 오픈소스지만 이에 포함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라이센스비를 내야하다니. 이러한 아이러니도 없다.

P.S 라이센스비에 대한 부분은 필자의 추측으로, 실제와 맞지 않을 수도 있음을 미리 알린다. 이로 인해서 인터넷에 대판 싸움을 나게 하기는 싫으므로 ;;

P.S 2 하지만, 여전히 구글 폰 갤러리에 깔려져 있는 변칙들은 설명이 안된다. (특히, HTC 디자이어의 경우) 이는 구글이 아직 폰 갤러리를 제대로 정비안한듯하다. ;;

Update: 이 글을 올린 이후로 다양한 의견을 받았다. 일단 공통적인 의견은, with Google 딱지에 대한 라이센스비는 없으며, 여전히 안드로이드 OS는 공짜라는 사실이다. 그 대신에, 구글 검색을 탑재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구글 검색의 세계정복의 일환인 셈. 근데 빙을 검색으로 탑재한 패시네이트는 어찌되는 거지…? ;;) 또한, 구글 인증 안드로이드폰이나 with Google 딱지를 받으려면 구글 측에서 호환성 테스트를 하는데, (아마 후자는 더 빡센 테스트를 하지 않을까) 이를 통과하지 못하면 마켓 앱도 안 내어준다고 한다. (트위터 아이디 @shur1313님 의견 감사합니다)

또한, 구글이 OS 자체에 대한 라이센스비는 안 받지만, 이에 대한 기술 지원에 대해서는 돈이 나간다는 의견도 있었다. 삼성, HTC 같은 기업은 안드로이드의 새 버전을 베타때부터 받아 작업한다고 하는데, 그런 류의 기술 지원은 당연히 돈이 나간다는 사실. (트위터 아이디 @krazyeom님 의견 감사합니다)

결론은? 진실은 저너머에… ;; (이제 구글 직원이 코멘트해주면 완료군 ㄲ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