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KudoColumns

[KudoColumn] 카카오톡 사태의 진정한 문제는 “대응”

당신의 대응, 이게 최선입니까?

Screenshot 2014-10-08 22.23.33

오늘 페이스북을 뒤적거리다 본 글이다. (신변보호 차원에서 저자 이름은 가렸다.) 아마 내 생각엔 카카오톡 개발자 분이신 것 같은데, 억울함을 참으로 절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런데 내가 생각하기에 이 분은 이 사태의 본질이 어디로 옮겨갔는 지 잘 모르시는 것같다.

그래, 이 분 말마따나 이 사건의 발단은 정부 쪽에서 시작되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언급부터, 검찰의 유언비어를 감시하겠다는 말 등등에서 시작한 건 맞다. (대략적 사건 개요는 여기에서) 이 분은 이후의 사태를 자기들(만약 이 분이 카카오에서 일하신다면)의 말을 듣지 않고 그냥 사태를 지네들끼리 양산한 언론과 지식인들(물론, 기레기들이 이런 적이 한두 번이 아닌 건 사실이다만)이 잘못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이 사태를 매우 크게 키운 건 카카오톡의 이후 대응이었다.

작년에 미국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모두가 아시는 에드워드 스노든 사태다. NSA가 미국의 IT 기업의 서버에 백도어를 설치해두고 모든 통신을 감시하고 있다는 것이 스노든의 주장이었다. 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미 IT 기업들은 곧바로 발끈했다. 자신들은 NSA의 백도어를 설치하지 않았다며 적극 주장하고 나섰다. 그리고는 바로 투명성 보고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애플과 구글은 iOS 8과 안드로이드 L부터는 자신들조차 사용자의 기기 컨텐츠를 못 들여다보게 OS를 뜯어고쳤고, 이는 FBI(국장)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심지어 트위터는 자신의 투명성 보고서의 내용 일부분을 미 법무부가 공개하지 말라고 압박을 넣자, 오히려 법무부를 고소하기도 했다. 모두 정부의 요구보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최우선하는 결정들이다.

이 모든 대응들과 카카오톡의 대응을 한 번 비교해보자. 카카오톡의 첫 대응은 “법적인 절차에는 협조할 수밖에 없다.”였다. 정말? 그 다음에 개인 정보 제공 건수에 대해서 물으니 “수사기밀이라서 공개할 수 없다”고 한다. 순간 난 여기서 카카오톡이 공기업인가라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다. 왜 검찰이 할 얘기를 너희들이 하고 있는 거냐? 이 때 내가 든 생각은, “과연 카카오톡은 사용자를 위한 대응을 했는가?”라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보면 속된 말로 검찰의 실드를 쳐준 거밖에 되지 않는다. 정상적인 사용자를 위한 기업의 마인드였으면 애플이나 구글, 트위터처럼 했어야 했다. 적극적으로 사용자들을 보호했어야 했다. 그래야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아, 내 사생활을 위해 이 정도까지 신경써주는구나”라고 생각하고 더 신뢰하게 될테니까.

위의 저 분은 이어 텔레그램의 보안 문제도 열심히 까기 시작하시는데, 뭐 그래, 내가 잠깐 사용해봤지만 텔레그램도 모두가 극찬할 만큼 좋은 메신저는 아니다. (난 마음 편하게 아이메시지 쓰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이 문제의 주제가 아니다. 이 분은 왜 사람들이 카카오톡에서 이탈해서 텔레그램으로 가고있는 지를 모르시는 것 같다. 이것은 더이상 어느 메신저가 더 보안에 강하냐의 문제가 아니다. 카카오톡의 미흡한 초기 대응은 사용자들에게 공포를 심었고, 이 공포는 곧 카카오톡에 대한 신뢰의 하락을 불러왔다. 그렇게 신뢰 다 까먹고 저런 변명을 한다 한들, 누가 들어주는데?

KudoKun__2014-Oct-08
결국 카카오는 어제 사과문을 앱 공지사항에 올리고, 향후 정책을 공개했다.
(직접 캡쳐)

결국 어제 카카오는 보도자료와 앱 공지사항 형식으로 사과문을 게시했다. 사태 발생 1주일이 넘어서였다. 이는 메시지의 서버 보관 기간을 2-3일(실제로 압수수색영장이 처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라고)로 단축하고, 차후에는 수신 확인이 뜨는 순간 서버에서 삭제, 암호화, 원격 삭제 등을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름이 뭐? “외양간 프로젝트?” 이게 반성의 의미인 거냐? 이런 상황에서도 개그를 치고 싶은 건가? 그것도 모자라, 일부 사람들은 전혀 반성의 기미를 안 보이기도 한다.

Screenshot 2014-10-08 23.54.10
얼마나 이 대응이 병맛같았으면 저 트윗이 1,400 리트윗을 넘었겠는가.

 결론적으로 정부의 구시대적 검열(?) 정책이 이 사태를 시작한 건 맞다. 그러나 저 위의 글을 쓰신 분은 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는 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다. 물론 언론이 부추긴 것도 없지않아 있고, 우리나라의 정국이라는 특수한 상황도 있다. 하지만 그걸 방임하고, 대응을 그런 식으로 한 것은 명확히 다음카카오의 잘못이다. 그리고 저 특수한 상황을 사람들이 이해해줄 거라 생각한 것도 오산이다. 그걸 무조건 언론 탓으로 돌릴 상황은 아닌 것이다. 이것이 잘못된 인식이건 아니건, 미적지근한 대응을 하는 사이에 사람들의 신뢰는 바닥을 친 것으로도 모자라 무덤을 파고 있으니까.

마지막은 윤지만님의 글에서 인용해보도록 하겠다.

이제 디지털 검열과 프라이버시 문제는 더 이상 다른 나라의 일이 아니다. 누군가는 다른 나라가 아니라 한국에서 일어난 일이니 정부의 요구에 카카오톡도 어쩔 수 없었을 거라고 얘기한다. 어쩌면 그 말이 맞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한 가지 확실한 건 카카오톡이 경쟁해야 하는 상대가 한국에만 있지 않다는 것이다. 카카오톡이 어쩔 수 없다고 대답하는 순간, 사람들은 더 안전한 다른 메신저로 떠나버린다. 다른 메신저 대신 카카오톡을 쓰라고 해도 부족할 판에 반대로 등을 떠밀어서야 되겠는가. 카카오톡에 진지하게 묻고 싶다. 지금의 대응으로 사람들이 카카오톡을 떠나고 나서도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고 말할 수 있는가?